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한 적이 있는 사람은 NOT, TRUE, FALSE를 알고 있을 것입니다. 대부분 전공서적 초반에 나오며 주로 조건문등에 자주 등장하게 됩니다. 엑셀에도 NOT, TRUE, FALSE 함수가 존재하는데요. 모두 논리 함수에 속합니다. NOT 함수는 논리식을 부정하고, TRUE 함수는 논리값을 참으로 표시하고, FALSE 함수는 논리값을 거짓으로 표시합니다. 사용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므로 저와 함께 이 세가지의 함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OT 함수는 논리식의 결과가 참이면 거짓을 표현하고 논리식의 결과가 거짓이면 참을 반환하는 함수 입니다.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OT 함수는 논리식의 결과를 부정하는 함수입니다.
형식 NOT(인수) 인수의 반대 값을 반환합니다. 인수가 참이면 거짓을, 거짓이면 참을 반환합니다.
C6셀을 선택하고 수식 입력 줄에 =NOT(B6)을 입력합니다. B6셀에 입력된 TRUE가 FALSE로 바뀐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논리식의 결과가 반대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NOT 함수의 사용방법입니다. 간단합니다.
TRUE 함수의 사용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RUE 함수는 논리값을 TRUE로 표시합니다.
형식 TRUE() 인수 없이 사용하며 TRUE를 반환합니다.
B5셀을 선택하고 =TRUE()를 입력하였습니다. 그러면 TRUE 값이 출력됩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이것이 TRUE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FALSE 함수의 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ALSE 함수는 논리값을 FALSE로 표시합니다.
형식 FALSE() 인수 없이 사용하며 FALSE를 반환합니다.
B5셀을 선택하고 수식 입력줄에 =FALSE()를 입력하였습니다. 그러면 결과값이 FALSE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FALSE 함수의 사용방법입니다. 이제 NOT, TRUE, FALSE 함수의 사용방법을 알았을 것입니다. 이것으로 엑셀 NOT TRUE FALSE 함수 알아보기 엑셀2010을 마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엑셀 소매가 평균 알아보기 DAVERAGE 함수 엑셀2010 (0) | 2020.06.30 |
|---|---|
| 엑셀 아이디 개수 알아보기 DCOUNTA 함수 엑셀2010 (0) | 2020.06.30 |
| 엑셀 하나만 참이면 참 반환하기 OR 함수 엑셀2010 (0) | 2020.06.28 |
| 엑셀 모두 참일때 참 반환하기 AND 함수 엑셀2010 (0) | 2020.06.28 |
| 엑셀 채우기 알아보기 엑셀2010 (0) | 2020.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