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이나 무언가 일을 할때에 몇 가지 지켜야 할 사항이 있기 마련입니다. 일을 할때에도 주의사항 같은 것이 있으며 준수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오기도 합니다. 프로그램 개발을 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개발언어는 각 언어마다 문법이 있습니다. 이것을 지키지 않고 개발하기는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무엇을 하든 몇 가지 사항을 습득하고 임해야 할 것입니다. HTML을 하면서 지금부터 설명할 몇 가지 사항을 지키지 않아도 크게 문제가 없지만 여러명과 공동으로 개발을 진행하거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사항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아울러 이런 습관을 기른다면 다른 언어를 공부 할때도 기초가 튼튼해 질 것입니다. 참고로 저는 에디트플러스를 사용하여 HTML을 작성하였습니다. 저와 같이 따라해보고 실행하는 방법도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그럼 저와 함께 HTML을 하면서 기억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알아 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시면 모든 HTML태그가 소문자로 되어 있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HTML태그를 소문자로 작성하는 것이 옳바른 방법입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HTML태그가 대소문자가 섞여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옳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HTML태그는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가 존재하며 여는 태그는 있어도 닫는 태그가 없는 것도 있습니다. 먼저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림을 보면 <p>안녕하세요</p>가 보일 것입니다. <p>는 여는 태그 즉 시작 태그 </p> 태그는 닫는 태그 즉 끝 태그를 의미합니다. 만약 <p>와 같이 여는 태그를 작성한 상태에서 </p>와 같이 닫는 태그를 작성하지 않으면 </p>태그를 만날 때까지 <p>태그 이후의 모든 내용은 <p>태그 문법을 따르게 되는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매우 중요하므로 잘 알아야 합니다. 다음으로 여는 태그만 있는 경우를 살펴 보겠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img src="book">책 이렇게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img>태그는 여는 태그만 있고 닫는 태그는 없는 경우입니다. 이럴때에는 여는 태그 하나만 사용해야 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p>안녕하세요</p> 이 부분에서 적당히 띄어쓰기가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안녕하세요</p>는 <div id="header"></div>태그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처럼 적당한 띄어쓰기를 하면 포함 관계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웹 문서에 한글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려면 문자세트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이것을 문자 인코딩이라고 하는데, 주로 euc-kr 방식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euc-kr은 영문과 한글은 표현할 수 있었지만 그 외의 언어는 표현 할 수 없었습니다. utf-8 방식은 한글과 영문뿐만 아니라 모든 언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꼭 utf-8만 고집하는 것은 아닙니다. euc-kr로 처리할 경우 용량을 적게 차지하므로 아직도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앞으로 한글과 영문뿐 아니라 다른 언어도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생기므로 인코딩 방식을 utf-8로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코딩 방식을 어떻게 지정하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head></head>태그 안에 <meta charset="utf-8">를 작성하면 인코딩 방식을 지정한 것입니다. 지금까지 HTML태그를 작성할때 반드시는 아니지만 지켜야 할 사항을 몇 가지 알아 보았습니다. 단독으로 간단한 프로그램은 개발이 가능하지만 큰 규모의 프로젝트에서는 단독으로는 불가능하며 많게는 수십명이서 공동으로 개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모두가 지켜야 할 사항을 만들어 적용한다면 프로젝트 개발에 편리 할 것이라 봅니다. 지금까지 HTML 태그를 작성할 때 지켜야할 사항 몇 가지가 이에 해당됩니다. 이상으로 HTML5 문서를 만들기 전에 기억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마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HTML 주석 달아보기 HTML5 (0) | 2020.06.24 |
---|---|
HTML 텍스트 단락 만들기 <p> 태그 HTML5 (0) | 2020.06.24 |
HTML 제목 표시하기 <hn> 태그 HTML5 (0) | 2020.06.23 |
HTML 특수 문자 특수 기호 사용하기 HTML5 (0) | 2020.06.23 |
HTML5 HTML이 무엇이며 파일 형식 웹브라우저 알아보기 (0) | 2020.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