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언어를 포함하여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는 다양한 연산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연산자는 프로그래밍 언어서적을 보면 초반부에 주로 등장하게 됩니다. 실무에서 논리 연산자를 잘못 이해하고 소스코드를 작성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기초를 튼튼하지 못하면 실무에서 고전을 면치 못할 것입니다. 저 역시 논리연산자를 잘못 이해하여 고생한 경험이 있습니다. 제가 어떤 부분에서 고생을 했는지를 알아보기 전에 자바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연산자 종류를 알아볼 것이며, 단항 연산자, 이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를 차근차근 알아볼 것입니다. 그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연산자와 피연산자가 무엇인지 먼저 알아 보겠습니다.
연산에 사용되는 기호를 연산자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 -를 연산자라고 부릅니다. 연산자와 함께 연산되는 데이터를 피연산자라고 합니다. 이제 연산자와 피연산자가 무엇인지 이해 하셨을 것입니다.
위와 같이 자바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연산자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연산식은 반드시 하나의 값을 산출 한다는 것입니다. 연산자 수가 아무리 많아도 무조건 하나의 값을 산출합니다. 그리고 연산식의 값은 변수에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int value = x + y;는 x + y의 값을 더한 결과값이 value변수에 저장이 되는 것입니다. 자바에서 제공하는 연산자의 종류는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자주 접하다보면 저절로 알게 될 것입니다. 실무에서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연산자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몰라 다시 공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양한 연산자를 프린트해서 가지고 있거나 따로 메모하여 필요할때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산술 연산식에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있습니다. 여기서 곱셈, 나눗셈이 덧셈, 뺄셈먼저 먼저 연산이 수행이 된다는 것을 학교에서 배웠을 것입니다. 예를들어 1 + 2 x 6 은 먼저 2와 6이 먼저 연산이 수행되어 12가 계산됩니다. 그래서 1 + 12 가 되어서 최종적으로 13의 결과 값이 생깁니다. 이처럼 연산자에서도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참고로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같을 경우에는 왼쪽에서 오른쪽 반향으로 연산이 차례대로 진행이 됩니다. 우선순위를 강제로 부여하는 방법이 있는데 바로 괄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1 + 2 ) x 6에서 괄호() 안에 있는 1 + 2가 먼저 연산이 되어 3의 값이 되고 3 x 6 식이 됩니다. 그래서 3 x 6이 곱해진 값 18이 결과 값이 됩니다. 대부분 실무에서 프로그래밍 할때 괄호()를 주로 씁니다. 자바에서 다양한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아는 것도 좋지만 실수를 할 확률이 많습니다. 괄호를 사용하면 실수할 확률이 거의 없으니 괄호() 사용을 적극 권장합니다.
연산의 방향과 우선순위
1. 단항, 이항, 삼항 연산자 순으로 우선순위를 가집니다.
2. 산술, 비교, 논리, 대입 연산자 순으로 우선순위를 가집니다.
3. 단항, 부호, 대입 연산자를 제외한 모든 연산의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입니다.
4. 복잡한 연산식에는 괄호()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으로 JAVA 단항 연산자 이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 알아보기 1편을 마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JAVA 단항 연산자 이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 알아보기 3편 (0) | 2020.07.05 |
---|---|
JAVA 단항 연산자 이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 알아보기 2편 (0) | 2020.07.03 |
JAVA 시스템 입출력 System.out System.in Scanner 알아보기 3편(완결) (0) | 2020.06.30 |
JAVA 시스템 입출력 System.out System.in Scanner 알아보기 2편 (0) | 2020.06.30 |
JAVA 시스템 입출력 System.out System.in Scanner 알아보기 1편 (0) | 2020.06.30 |